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올해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7월 16일부터 시작되면서 받을 수 있는 지원 대수가 약 4,000대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, 주목하셔야 합니다. 하반기에만 총 4,686대를 지원하고, 연말에는 15,890대까지 확대 계획이 있지만 매년 예산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으니 빠른 신청이 필수입니다.
전기차 구매를 고민하신다면 구매 비용을 확실히 줄일 수 있는 절호의 타이밍이자 올해가 마지막 기회의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.
(승용차, 화물차, 어린이 통학차량 등 차종별 지원금액 한눈에 확인 가능)
📝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지원금액 및 신청방법
구분 | 최대 지원금액 | 국비 지원 | 서울시 지원 | 비고 |
승용차 | 최대 900만 원 | 580만 원 | 50만 원 | 차량가액 5,300만 원 미만 100% 5,300~8,500만 원 50%, 그 이상 미지원 |
소형 화물차 | 최대 1,600만 원 | 1,050만 원 | 300만 원 | |
어린이 통학차량 | 최대 2,200만 원 | 1,800만 원 | 400만 원 | 차량 크기·용도 따라 변동 |
대형 전기버스 | 최대 3,000만 원 | 2,300만 원 | 700만 원 |
- 일부 제조사 차량가 50만 원 할인 시 서울시도 추가 50만 원 지원 가능
- 보조금은 차량 계약가에서 즉시 차감
🎯 신청 자격 및 대상
- 신청일 기준 30일 이상 서울 거주자 또는 서울 소재 사업자, 법인, 단체
- 만 18세 이상 개인(개인사업자는 대표자 서울시 주소지 필수)
- 법인은 사업장(본사, 지사, 대여사업소)이 서울에 있어야 신청 가능
- 2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에 한정
- 어린이 통학차, 화물차 등 법인/단체 신청 가능
※ 외국인도 서울시 거주 및 체류요건 충족 시 신청 가능
📝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
-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 또는 구청 공고 확인
- 원하는 전기차 계약 및 필요한 서류 준비 (계약서, 등본 등)
-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하여 신청
- 서류 심사 후 2개월 이내 차량 출고 및 등록 (미출고·미등록 시 자동 취소)
- 보조금은 차량 등록 후 ‘제조사 → 딜러 → 소비자’ 방식으로 지급
- 출고 및 등록 순으로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.
- 각종 문의 : 1661-0970, 다산콜센터 120
💡 추가 팁 및 유의사항
- 장애인, 차상위, 기초생활수급자, 다자녀, 청년 등은 추가 지원 및 우선순위 혜택이 있습니다.
- 보조금 신청 전 반드시 남은 대수 실시간 확인 필수!
- 모든 서류는 스캔하여 PDF로 첨부, 우편 혹은 오프라인 제출 불필요
- 2개월 내 차량 출고/등록 못할 경우 자동 취소, 다음 접수자를 위해 신속히 처리해주세요.
🔍 많이 묻는 질문(Q&A)
- Q. 잔여 대수는 어디서 보나요?
A.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합니다. - Q. 전기차를 사고 싶은데, 올해 못 받으면 내년에도 받을 수 있나요?
A. 내년에는 보조금이나 정책이 줄어들거나 변경될 가능성이 크니 올해 신청이 가장 유리합니다. - Q.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는 계층은?
A. 장애인, 차상위, 기초생활수급자, 다자녀, 생애 최초 구매, 어린이통학용, 미세먼지 개선효과 차량 등 우선지원 또는 추가 보조금이 제공됩니다. - Q. 서류는 어디로 제출하나요?
A.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온라인 신청시에만 원본대조필 후 첨부 진행(오프라인 제출 불필요)
🌱 올해가 전기차 보조금 최적의 기회!
예산 소진이 매우 빠르므로 지금 바로 남은 대수 및 예산, 나의 조건, 신청 절차를 확인하세요. 가족, 지인들과도 정보를 공유하여 모두가 함께 친환경 전기차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!
세부 사항 및 실시간 신청 현황은 반드시 공식 누리집과 서울시 공고문을 참고해주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