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K-콘텐츠의 새로운 역사를 쓴 제4회 청룡시리즈어워즈! 국내 최초로 스트리밍 시리즈만을 위한 이 특별한 시상식의 모든 것을 한눈에 확인하세요. 화려한 레드카펫부터 감동의 수상 순간까지, 주요 정보와 결과를 표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.
📅 행사 기본 정보
항목 | 내용 |
일시 | 2025년 7월 18일 오후 8:30 |
장소 |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크로마홀 |
중계 | KBS 2TV, 네이버, 티빙, 프리즘 |
주최 | 스포츠조선 |
후원 | 인천광역시 |
심사 기간 | 2024.6.1 ~ 2025.5.31 방영작 |
진행 MC | 전현무, 임윤아 (4년 연속) |
레드카펫 진행 | MC배, 안소영, 임지웅 |
🏆 주요 수상작 및 수상자
올해의 대상은 넷플릭스의 화제작 ‘폭싹 속았수다’! 대상을 포함해 여우주연상(아이유), 여우조연상(염혜란)까지 3관왕에 올랐습니다. 주지훈은 ‘중증외상센터’로 남우주연상을, 아이유는 첫 장편 드라마 주연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습니다.
드라마 부문 수상작
수상 부문 | 수상자/작품 | 플랫폼 | 특징 |
대상 | 폭싹 속았수다 | 넷플릭스 | 로맨스, 현대인의 외로움과 사랑을 깊이 있게 조명 |
최우수작품상 | 중증외상센터 | 넷플릭스 | 리얼 의료 현장과 인간애가 조화 |
남우주연상 | 주지훈 (중증외상센터) | 넷플릭스 | 냉철하면서도 인간적인 의사 역할 호평 |
여우주연상 | 아이유 (폭싹 속았수다) | 넷플릭스 | 첫 장편 드라마 주연, 안정적 열연 |
남우조연상 | 김신록 (좋거나 나쁜 동재) | 티빙 | 복합적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 |
여우조연상 | 염혜란 (폭싹 속았수다) | 넷플릭스 | 강렬한 존재감의 명품 연기 |
예능 및 특별상 부문
수상 부문 | 수상자/작품 | 플랫폼 | 특징 |
최우수 예능작품상 | 흑백요리사: 요리 계급 전쟁 | 넷플릭스 | 음식의 본질, 예술성을 새로운 포맷으로 구현 |
예능인상(남자) | 기안84 (대환장 기안장) | 쿠팡플레이 | 기발한 예능 감각과 세계관 구축 |
예능인상(여자) | 이수지 (SNL 코리아 6,7) | 티빙 | 다양한 코미디 연기로 각광 |
신인 남우상 | 추영우 (중증외상센터) | 넷플릭스 | 첫 주연, 노련한 연기 |
신인 여우상 | 김민하 (내가 죽기 일주일 전) | 쿠팡플레이 | 삶과 죽음 경계 심리 묘사 |
인기스타상 | 박보검, 이혜리, 이준혁, 아이유 | 다양 | 시청자 투표와 SNS 영향력 |
OST 인기상 |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연준 (‘새벽 2시의 신데렐라’) | 넷플릭스 | 음악적 감성으로 극의 몰입도 상승 |
👑 주요 후보작 및 경쟁 구도
작품명 | 플랫폼 | 장르 | 주요 출연진 | 특징 |
폭싹 속았수다 | 넷플릭스 | 로맨스 | 아이유, 박보검 | 현대인의 고독, 사랑을 담백하게 6개 부문 최다 노미네이트 |
중증외상센터 | 넷플릭스 | 의학 | 주지훈, 추영우 | 실제 의료진 자문, 리얼리티와 감정선 조화 |
악연 | 티빙 | 스릴러 | 박해수, 한소희 | 미스터리 결합, 강렬한 악역 |
가족계획 | 디즈니+ | 가족 | 공유, 염정아 | 현대가족 갈등과 화해, 따뜻함 |
내가 죽기 일주일 전 | 쿠팡플레이 | 휴먼 | 김민하, 신하균 | 죽음을 앞둔 인물의 심리 묘사, 실험적 시도 |
🎵 축하공연 라인업
아티스트 | 공연 곡 | 특별 이벤트 |
임시완 | 별을 따라서 (특별 편곡) | 오케스트라 협연, 오프닝 무대 |
홍이삭 | 내 사랑 내 곁에 | 폭싹속앗수다 한장면 연출 |
최백호 | 희망의 나라로 | 관객과 함께 피날레 |
📊 플랫폼별 성과 분석
플랫폼 | 수상작 수 | 주요 수상작 | 특징 |
넷플릭스 | 7 | 폭싹 속았수다, 중증외상센터, 흑백요리사 | 주요 부문 다수 석권, 글로벌 흥행 |
티빙 | 2 | 좋거나 나쁜 동재, SNL 코리아 | 조연, 예능 부문 선전 |
쿠팡플레이 | 2 | 내가 죽기 일주일 전, 대환장 기안장 | 실험적 소재, 참신한 예능 |
디즈니+ | 1 | 가족계획 | 따뜻한 가족극, 스토리 중심 |
웨이브 | 1 | 원경 | 특색 있는 주제, 후보 진출 |
📈 화제성 및 시청률
지표 | 수치 | 비고 |
TV 시청률 | 8.7% | 역대 청룡시리즈어워즈 최고 기록 |
온라인 동시 시청자 | 약 150만 명 | 네이버, 티빙 등 합산 |
SNS 해시태그 언급 | 320만 건 | 행사 당일 24시간 |
클립 영상 조회수 1위 | 아이유 수상 소감 | 12시간 만에 450만 뷰 |
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점유 | 상위 10개 중 7개 | 행사 중 최고 기록 |
🎬 마무리: K-콘텐츠의 미래를 밝히다
제4회 청룡시리즈어워즈는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을 아우르며 K-콘텐츠의 현주소와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확인시켜준 무대였습니다. 특히 넷플릭스 등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시장 확장세가 인상적이었습니다.
앞으로도 더 풍부해질 K-콘텐츠와 청룡시리즈어워즈의 다음을 응원하며,
여러분의 생각과 응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! 공유도 환영합니다 😊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