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! 2025년 10월 18일, 지금 금시세가 정말 '역대급'이라는 말밖에 안 나오네요. 😲순금 1돈(3.75g)을 살 때 가격이 9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!
이러다 보니 두 가지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아요."집에 잠자는 18K 목걸이, 지금 팔아야 하나?" (🥇 현명한 금팔기)
"아니면 더 오르기 전에 금 투자를 시작해야 하나?" (📈 현명한 금 투자) 
오늘 이 두 가지 고민과 함께, 도대체 '국제 금시세'는 누가 정하는 건지(런던금거래소 LBMA)까지!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속 시원하게 해결해 드립니다.

🌍 잠깐! '국제 금시세'는 누가 정할까요? (런던금거래소 LBMA)
우리가 금값을 이야기하기 전에, "도대체 '국제 금시세'는 누가 정하는 걸까?" 궁금하셨죠? 바로 '런던금거래소(LBMA)'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.
- 역할 (Role): 런던금거래소(LBMA,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)는 특정 건물이 아니라, 골드만삭스, JP모건 같은 전 세계 초대형 은행과 기관들의 '모임(협회)'이에요. 이들이 모여 하루에 두 번씩 "앞으로 금을 이 가격에 거래합시다!"하고 '기준 가격'을 정합니다.
 - 왜 런던인가? (History): 🤓 아주 먼 옛날(17~19세기), 영국(대영제국)이 전 세계와 무역을 하던 시절, 남아프리카 등에서 캐낸 금이 모두 런던으로 모였어요. 자연스럽게 런던이 '금 거래의 중심지(허브)'가 되었고, 이 전통이 수백 년간 이어져 내려와 지금까지 런던이 국제 금시세의 기준이 된 것이랍니다!
 - 결론: 우리가 보는 종로 금시세, KRX 금시세 모두 이 런던(LBMA)의 기준 가격에 환율(달러 가격)을 곱해서 정해지는 거예요!
 
💡 즉, 런던은 '도매시장', 종로는 '소매시장'!
런던(LBMA)이 전 세계 은행끼리 거래하는 '도매시장 기준가'라면, 종로 금거래소는 우리 같은 손님에게 파는 '소매시장 가격'이라고 이해하면 쉬워요.


🥇 첫째: "집에 잠자는 금 반지/목걸이" 현명하게 금팔기 꿀팁
가지고 계신 소중한 금을 '제값 받고' 파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. 금을 팔 때는 딱 3가지 기준만 기억하세요!
- 1. 기준: '내 금' 정확히 알기 (14K, 18K, 24K)
금은 순금(24K) 함량에 따라 18K(순금 75%), 14K(순금 58.5%)로 나뉘어요. 당연히 순금 함량이 높을수록 비싸겠죠? 내가 팔 금이 몇 K인지 미리 확인하세요. 
- 2. 기준: '내가 팔 때' 시세 확인하기
금은방 시세표에는 '내가 살 때'와 '내가 팔 때(매입가)' 가격이 따로 있어요. 우리는 파는 입장이니 '내가 팔 때' 가격을 봐야 해요. 
- 3. 방법: 최소 3곳 이상 가격 비교! (⭐제일 중요⭐)
'금의 메카'인 서울 종로 3가에 가보면 수백 개의 금은방이 있어요. 여기서 최소 3곳 이상 방문해서 "이거 팔면 얼마예요?"라고 꼭 물어보세요. 가게마다 1돈(3.75g)에 몇천 원에서 몇만 원까지도 차이가 납니다! 
🚨 잠깐! '한국금거래소', '삼성금거래소'는 공공기관이 아니에요!
이름 때문에 나라에서 운영하는 곳으로 착각하기 쉽지만, 두 곳 모두 '사기업(개인 회사)'입니다. (한국금거래소, 삼성금거래소) 물론 큰 기업이지만, 이 가게들 역시 종로의 다른 금은방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가격 비교 대상에 포함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!
[현명한 금팔기 팁 요약]
1. 큐빅(보석)이나 큰 장식은 금 무게에서 빼고 계산하는 게 맞아요.
2. '내가 팔 때' 시세를 미리 확인하고 종로 3가에 간다.
3. '한국금거래소' 포함 최소 3~4곳에서 견적을 받고 가장 비싸게 쳐주는 곳에 판다.






📈 둘째: "금값 계속 오르는데..." 현명한 금 투자 방법 비교
"지금이라도 금 투자를 해야 할까?" 고민된다면, 어떤 방법이 나에게 맞는지 비교해 보세요.
| 
 투자 방법  | 
 거래 장소  | 
 장점 (👍)  | 
 단점 (👎)  | 
|---|---|---|---|
| 1. KRX 금시장  (⭐추천)  | 
증권사 앱 (주식 계좌) | ✔ 수익에 대한 세금 0원 (비과세) ✔ 1g 단위 소액 투자 가능 ✔ 수수료 저렴 (약 0.3%)  | 
✔ 주식 계좌 개설 필요 ✔ 실물로 찾을 때 부가세 10%  | 
| 2. 금 통장  (은행)  | 
은행 앱 (신한, 국민 등) | ✔ 0.01g 단위 초소액 가능 ✔ 적금처럼 모으기 편리함  | 
✔ 수익에 세금 15.4% 냄 ✔ 수수료 비쌈 (약 1%)  | 
| 3. 실물 금  (골드바)  | 
은행, 금거래소 | ✔ 내 손에 쥐는 든든함 | ✔ 살 때 부가세 10% + 수수료 (약 5%) ✔ 사자마자 -15% 시작 (단타 절대 비추)  | 
| 4. 금 ETF (펀드)  | 
증권사 앱 (주식 계좌) | ✔ 주식처럼 거래 편리 ✔ 런던 국제 시세 추종  | 
✔ 수익에 세금 15.4% 냄 | 
💡 금 투자 결론!
장기적으로 금에 투자해서 '수익'을 내고 싶다면, 세금 혜택(비과세)이 가장 큰 'KRX 금 시장'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합니다. (주식 앱으로 1g씩 쉽게 살 수 있어요!)


자, 오늘 내용 3줄로 요약해 드릴게요! 🥳
1. 🌍 국제 금시세: '런던금거래소(LBMA)'가 전 세계 금값의 기준(도매가)을 정한다.
2. 🥇 금 팔기(판매): '내가 팔 때' 시세 확인! 종로 3가에서 '한국금거래소' 포함 최소 3곳 이상 가격 비교하고 가장 비싸게 쳐주는 곳에 판다!
3. 📈 금 투자(구매): 세금 0원(비과세) 혜택이 있는 'KRX 금 시장'(주식 앱 이용)이 장기적으로 가장 유리하다! 
기준을 알고 움직이면 절대 손해 보지 않습니다. 여러분의 성공적인 금 거래를 응원합니다!
오늘 정보가 유용했다면, 헷갈려하는 친구들에게도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!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![]() ![]() ![]()  | 
	


















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