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운동 열풍이 가득한 요즘, 드디어 본격적인 소식이 들려왔습니다. 오는 2025년 7월부터 헬스장·수영장 이용료가 문화비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 도서, 공연 등 특정 문화생활에만 적용되던 공제 혜택이 본격적으로 운동비용까지 확대되면서 더 많은 분들이 건강 투자와 절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.
많은 분들이 “왜 요가, 필라테스, 볼링 등은 제외됐지?”, “모든 헬스장·수영장이 대상인가요?” 궁금해하시죠. 아래에 이유, 공제 적용 대상, 시설 찾는 법, 연말정산 팁까지 정리했습니다. 걱정 없이 혜택 챙겨보세요! 😊
📌 헬스장·수영장 문화비소득공제, 2025년 어떻게 시행되나요?
- 시행 시점: 2025년 7월 1일 이후 결제분부터 적용
- 적용 대상자: 총급여 7,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
- 공제율: 이용료의 30%
- 연간 한도: 300만 원(전통시장, 대중교통 소득공제와 한도 통합)
- 결제 조건: 신용카드,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 결제만 인정
- 대상 시설: 문화비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헬스장·수영장
소득공제 대상 시설에서 결제한 이용료라면 연말정산 시 최대 300만 원 한도 내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PT(개인 트레이닝), 강습료 등은 시설이용료로 인정되지 않으니 유의하세요.
❓ 요가·필라테스·볼링은 왜 제외됐나요?
- 대중성과 접근성: 헬스장·수영장은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국민 운동시설입니다. 반면, 요가, 필라테스, 볼링 등은 시설 분포나 이용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.
- 운영체계와 관리의 용이성: 헬스장·수영장은 사업자 등록이 잘 되어 있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지만, 요가·필라테스는 개별 강습, 소규모 운영 등 관리·투명성 측면에서 복잡해 제외되었습니다.
- 공공성과 사회적 영향: 헬스장·수영장은 국민 신체활동 장려라는 공적 가치를 인정받아 1차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.
🤔 참고: 정부는 앞으로 요가, 필라테스 등도 대상에 포함하는 확대 방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.
🏢 공제 가능한 헬스장·수영장, 이렇게 찾으세요!
모든 헬스장·수영장이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!
문화비소득공제 적용은 ‘등록된 사업자’에 한정됩니다.
- 공제 대상 시설 빠른 검색: 문화비소득공제 공식 누리집 바로가기
- 지역, 업종, 사업장명을 검색하여 등록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미등록 시설은 사업장에 사업자 등록 요청을 해 보세요.
결제 주의사항:
- 등록된 시설에서 카드·현금영수증 등으로 결제해야 공제 적용
- 강습료·PT 등은 전체 금액의 절반만 인정
- 운동 용품, 음료 등 부가 상품은 제외
📝 자주 묻는 질문 Q&A
- Q1. 2025년 6월 결제분도 공제되나요?
A. 아니요. 2025년 7월 1일 이후 결제분만 적용됩니다. - Q2. 우리 헬스장이 공제 대상인지 어디서 확인하나요?
A. 문화비소득공제 누리집에서 시설명을 검색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- Q3. 강습료도 모두 소득공제 되나요?
A. 아니요. 시설이용료만 전액 공제, PT·강습료 등은 50%만 공제 대상이 됩니다.
💡 실전 연말정산 꿀팁
- 헬스장·수영장 이용 전 등록 시설인지 사전 확인 필수
- 결제 후 영수증은 연말정산까지 보관하면 안전
- 미등록 시설은 사업주에 문화비소득공제 등록 요청하기
- 도서·영화·공연 등 기존 공제와 똑똑하게 병행해 세테크 효과 높이기



🎯 2025년 헬스장·수영장 소득공제, 건강과 절세를 동시에!
2025년 7월부터 헬스장·수영장 이용료까지 문화비소득공제가 확대되면서 더 많은 분들이 운동을 통한 건강과 연말정산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.
이번 변화에 힘입어 주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