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대출 한도, 부족 자본금, 구매 전략 비교(연소득 기준)
아래 표는 연소득 5천만 원과 1억 원 기준으로 수도권과 지방에서의 주택 구매 시 대출 여력과 자금 부담, 그리고 각 상황에 맞는 구매 전략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정리한 것입니다.
항목 | 연소득 5천만 원 | 연소득 1억 원 |
수도권(투기과열지구) 대출 한도 |
2억 4천만 원 | 2억 4천만 원 |
수도권 부족 자본금 | 3억 6천만 원 | 3억 6천만 원 |
수도권 구매 전략 | 보금자리론/디딤돌대출 및 전세금 전환 | 분양 주택 검토, 신용대출 등 추가 자금 확보 |
지방(비규제지역) 대출 한도 | 3억 5천만 원 | 4억 2천만 원 |
지방 부족 자본금 | 2억 5천만 원 | 1억 8천만 원 |
지방 구매 전략 | LTV 최대한도 활용 및 추가 신용대출 검토 | 초기 자본 부담 감소, 금리·상환 계획 최적화 |



대출 규제별 핵심 팁 📝
- 수도권은 LTV 40% 상한에 부딪혀 소득이 늘어나도 대출 한도가 늘지 않으므로, 자체 자금 확보가 핵심입니다.
- 지방은 LTV 70%와 DSR 40%에서 대출 한도가 차등 적용되어, 소득이 높을수록 대출 여력이 증가합니다.
- 정부지원 대출(보금자리론/디딤돌대출) 활용, 전세금 전환, 신용대출, 분양아파트 중도금 대출 등 현실적인 조달 방법을 적극 고민하세요.
- 지방의 경우 부족 자본금이 수도권보다 적게 들어 부담이 훨씬 덜하며, 적극적으로 분양/매매 전략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



마무리하며 🚀
수도권(투기과열지구)는 대출 상한이 엄격하여 초기 자본금 부담이 크지만, 장기 보유 및 입지 프리미엄에 관심이 많다면 적합합니다. 지방(비규제지역)은 대출 한도가 넉넉해 부족 자본금이 적어 현실적인 내집마련 및 투자에 유리합니다.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하기 및 댓글 남기기로 더 많은 실수요자와 정보를 나누어 주세요!